벡터공간(Vector Space)

원서 : Strang, G. (2023). Introduction to Linear Algebra (6th ed.).

1. 공간 (Space)

집합 V의 임의의 원소 u,v와 임의의 스칼라 k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을 만족할 때, 집합 V를 공간(Space) 이라고 한다.

\(u+v∈V\) \(ku∈V\)


2. 벡터공간(Vector Space)

공간 V의 임의의 원소 u,v,w와 임의의 스칼라 k,l에 대하여 다음 8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할 때, 공간 V를 벡터공간(vector space) 이라 하고, V의 원소를 벡터(vector) 라고 부른다.


① (u+v)+w=u+(v+w) (결합법칙)

② u+0=u를 만족하는 영벡터 0∈V가 존재한다 (항등원)

③ u+(−u)=0을 만족하는 역벡터 −u∈V가 존재한다 (역원)

④ u+v=v+u (교환법칙)

⑤ k(u+v)=ku+kv (분배법칙)

⑥ (k+l)u=ku+lu (분배법칙)

⑦ (kl)u=k(lu) (결합법칙)

⑧ 1u=u


여기서 공간은 원점을 포함하고 있다고 생각하면 편하다


대표적인 벡터공간

다음의 집합들은 모두 벡터공간을 이루는 대표적인 집합이다.


행렬공간

\[M_{n \times m} = \left\{ \begin{pmatrix} a_{11} & \cdots & a_{1m} \\ \vdots & \ddots & \vdots \\ a_{n1} & \cdots & a_{nm} \end{pmatrix} \right\}\]


유클리드 공간

\[\mathbb{R}^n = \{ (a_1, a_2, \dots, a_n) \}\]


다항식 공간

\[P_n = \{ a_0 + a_1 x + a_2 x^2 + \cdots + a_n x^n \}\]


3. 부분공간 (Subspace)

벡터공간 V에 포함된 부분집합 W가 다음 두 조건을 만족하면 부분공간(subspace) 이라고 한다.


\(u,v∈W⇒u+v∈W\) \(u∈W,k∈R⇒ku∈W\)


Theorem

영벡터 {0}은 벡터공간의 정의를 만족한다.

{0}을 제외한 임의의 벡터공간 V는 적어도 서로 다른 두 개의 부분공간을 갖는다

R3의 부분공간은 {0}, 원점을 지나는 모든 직선, 원점을 지나는 모든 평면, 그리고 R3 자체이다.


공간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 몇가지 예를 보자.


**<보기>에서 벡터공간을 모두 고르면?**

가. 3차 다항식의 집합

나. 연속함수 f: R->R의 집합

다. 미분가능하고 도함수가 불연속인 함수 f:R->R의 집합

라. 최댓값이 1보다 작은 함수 f:R->R의 집합


가. 3차 다항식의 집합이므로 f(x) = 0이 존재하지 않는다.

나. 연속함수이므로 덧셈에 대해 닫혀있으며, 스칼라배에서도 (k연속 = 연속) 닫혀있으므로 벡터공간이다.

다. 미분가능하고 도함수가 불연속인 함수에는 f(x) = 0이 존재하지 않는다.

라. 최대값이 1보다 작은 함수에서는 덧셈에 대해 닫혀있지않다. (1/2 + 2/3 > 1)

따라서 벡터공간이 될 수 있는것은 나. 뿐이다.



**<보기>에서 옳은 것을 고르면?**

가. 4x4 행렬 A가 가역이고 B = (detA)A^-1일때, det(A^3) = detB이다.

나. 5x5 행렬 A가 A=-A^T를 만족할때 detA = 0이다.

다. W1,W2,W3가 벡터공간 V의 부분공간일때 (W1+W2)∩W3 = (W1∩W3) + (W2∩W3)이다.



가. det(B) = det(det(A)A^-1) = detA^4 det(A)^-1(4x4행렬이고 det는 스칼라이므로 제곱으로 앞으로 내보낸다) = det(A)^3 (참)

나. 홀수 차수 교대행렬의 행렬식은 0이다. (참)

다. (거짓) 반례 참고

image


4. 합공간과 직합

① 합공간

\[U + W = \{ \mathbf{u} + \mathbf{w} \mid \mathbf{u} \in U, \ \mathbf{w} \in W \}\]


\[\dim(U + W) = \dim U + \dim W - \dim(U \cap W)\]


합집합 구하듯이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. (합집합이라는 것은 아니다. 수식만 비슷하다.)


② 직합

아래와 같은 조건일때 U와 W를 직합이라고 한다.

\[U \cap W = \{\mathbf{0}\}\]

이 경우 아래와 같이 표기한다.

\[V = U \oplus W\]


\[\dim(U \oplus W) = \dim U + \dim W\]

image

5. 일차결합 (Linear Combination)

벡터공간 V의 원소 v1​,v2​,…,vn​에 대하여 임의의 실수 a1​,a2​,…,an​이 있을 때, a1​v1​+a2​v2​+⋯+an​vn​을 v1​,v2​,…,vn​의 일차결합이라고 한다.


Note

{v1,v2,v3,….,vn}이 일차종속이면 v1, v2, …, vn중 적당한 vk는 나머지의 일차결합이다.

여기서 적당한은 가능하지만 임의의(모든) 에서는 성립하지 않는다.

명제에서 적당한은 존재함을 의미하고 임의의는 모든 것을 의미한다.


6. 벡터공간을 생성 (Span)

V의 부분집합 {v_1, v_2, …, v_n}이 V를 생성(span)한다는 것은 V의 모든 벡터 v가 v1​,…,vn​의 일차결합으로 표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. 즉, v=a1​v1​+a2​v2​+⋯+an​vn​이 성립하는 실수 a1​,…,an​이 존재한다.

  • 예시: <(1,0),(1,3)>=R2 이다.

    R2의 임의의 벡터 v=(x,y)를 (x,y)=(x-y/3)(1,0)+(y/3)(1,3)으로 나타낼 수 있기 때문이다.

  • 예시:

    <(1,1),(2,2)>!= R2 이다.

    R2의 임의의 벡터 v=(x,y)를 (x,y)=a_1(1,1)+a_2(2,2)로 나타내려 할 때, 연립방정식 a_1+2a_2=x , a_1+2a_2=y 에서 x=y인 경우 이 조건을 만족하는 실수 a1​,a2​를 찾을 수 없으므로 모순이 발생하기 때문이다.


7. 일차(선형) 독립(Linear Independent)과 일차(선형) 종속(Linear Dependent)


벡터공간 V의 부분집합 ${v_1, v_2, \ldots, v_n}$과 임의의 실수 a1​,a2​,…,an​에 대하여, 일차결합 a1​v1​+a2​v2​+⋯+an​vn​=0일 때,

만약 a1​=a2​=⋯=an​=0이어야만 한다면, ${v_1, v_2, \ldots, v_n}$은 일차(선형) 독립(Linear independence)이라고 한다.

만약 a1​,a2​,…,an​ 중에 적어도 하나가 0이 아닌 것이 존재한다면, ${v_1, v_2, \ldots, v_n}$은 일차(선형) 종속(Linear dependence)이라고 한다.


Theorem

선형독립인 경우 det(A) != 0이다. 반대로 종속인 경우에는 0이다.


마찬가지로 독립과 종속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 몇가지 예를 보자.


V = {log2x, log5x, log10x}

위와 같은 공간은, det 0의 여부, 덧셈과 실수배에 닫혀있는지 쉽게 확인하기 힘들기 때문에 로그 밑 변환 공식을 사용해보자.

log2x = lnx/ln2, log5x = lnx/ln5, log10x = lnx/ln10 즉, 서로 실수배 이므로 선형 종속이다.

V = {x^2 + 1, lx^2 + 0.1, x^2 + 0.01}

이도 마찬가지로 det 0의 여부, 덧셈과 실수배에 닫혀있는지 쉽게 확인하기 힘들다. 2가지 방법으로 풀어보자.

① Wronskian

Wronskian 정의

세 함수 f1​,f2​,f3​의 Wronskian은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.

\[W(f_1, f_2, f_3)(x) = \begin{vmatrix} f_1 & f_2 & f_3 \\ f_1' & f_2' & f_3' \\ f_1'' & f_2'' & f_3'' \end{vmatrix}\]


이를 위에 공간에 적용해보자.

\[W = \begin{vmatrix} x^2 + 1 & x^2 + 0.1 & x^2 + 0.01 \\ 2x & 2x & 2x \\ 2 & 2 & 2 \end{vmatrix}\]


이와 같이 나오고 이것의 det를 계산하면 0이 나오므로 종속이다.

② 계수행렬

아직 서술하지 않았지만 Wronskian없이 (x2 계수,x 계수,상수항)을 기저(basis) 로 삼아 계수행렬로 정의하면 쉽게 알수있다.

다항식 공간 P2에서

\(x 2 +1→(1,0,1)\) \(x 2 +0.1→(1,0,0.1)\) \(x 2 +0.01→(1,0,0.01)\)

이와같이 나오고 이는 다음과 같다

\[A = \begin{pmatrix} 1 & 1 & 1 \\ 0 & 0 & 0 \\ 1 & 0.1 & 0.01 \end{pmatrix}\]

그리고 이것의 det를 구하면 0이 나오므로 종속이다.


V = {coshx, sinhx, e^x}

이는 coshx + sinhx = e^x 이므로 종속임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.